시스템트레이딩

gpfTCPivotLimit: 메타트레이더 4를 위한 효과적인 거래 시스템
MetaTrader4
gpfTCPivotLimit: 메타트레이더 4를 위한 효과적인 거래 시스템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오늘은 메타트레이더 4에서 사용할 수 있는 gpfTCPivotLimit이라는 전문가 시스템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시스템은 인트라데이 시간대를 기반으로 하여 피벗 지표를 활용해 거래를 진행합니다.거래 방법:시간대는 1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현재 날짜의 0시 이후에 피벗 레벨, 저항 1, 저항 2, 저항 3, 지지 1, 지지 2, 지지 3을 계산합니다.지지 레벨(n)을 테스트한 후, T-2 시간의 캔들이 이 레벨을 넘어서고 T-1 캔들이 해당 레벨 위에서 마감되면 매수 주문을 넣습니다. 이때 스톱로스는 지지(n1) 레벨에, 테이크프라핏은 저항(n) 레벨에 설정합니다. T는 현재 시간입니다.스톱로스를 손익 분기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레일링 기능을 사용합니다.반대로, T-2 시간의 캔들이 저항(n)을 테스트하고 T-1 캔들이 해당 레벨 아래에서 마감되면 매도 주문을 넣습니다. 스톱로스는 저항(n1) 레벨에, 테이크프라핏은 지지(n) 레벨에 설정합니다.입장 파라미터 설명:변수 TgtProfit은 스톱로스 및 테이크프라핏 레벨을 설정하며, 1부터 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TgtProfit이 1일 경우, 테스트 레벨(매수/매도)은 저항 1/지지 1, 스톱로스(매수/매도)는 저항 2/지지 2,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은 지지 1/저항 1입니다.TgtProfit이 2일 경우, 테스트 레벨(매수/매도)은 저항 1/지지 1, 스톱로스(매수/매도)는 저항 2/지지 2,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은 지지 2/저항 2입니다.TgtProfit이 3일 경우, 테스트 레벨(매수/매도)은 저항 2/지지 2, 스톱로스(매수/매도)는 저항 3/지지 3,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은 지지 1/저항 1입니다.TgtProfit이 4일 경우, 테스트 레벨(매수/매도)은 저항 2/지지 2, 스톱로스(매수/매도)는 저항 3/지지 3,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은 지지 2/저항 2입니다.TgtProfit이 5일 경우, 테스트 레벨(매수/매도)은 저항 2/지지 2, 스톱로스(매수/매도)는 저항 3/지지 3,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은 지지 3/저항 3입니다.변수 isTradeDay는 열려 있는 포지션이 언제 종료될지를 정의합니다. isTradeDay가 true이면, 당일 종료 시 모든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됩니다. 반면 false인 경우, 포지션은 스톱로스나 테이크프라핏에 따라 종료됩니다.변수 isTrace를 True로 설정하면, 모든 가능한 디버깅 정보를 기록하여 트레이드 시스템을 디버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테스트 결과: 이 접근 방식을 사용했을 때 모든 통화 쌍에서 긍정적인 수익성을 보장할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수익성은 트레일링 기능을 활용했을 때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2006.01.25
MetaTrader 4를 위한 gpfTCPivotStop EA 소개
MetaTrader4
MetaTrader 4를 위한 gpfTCPivotStop EA 소개

   gpfTCPivotStop은 일간 레벨의 돌파를 기반으로 하여 피벗 지표를 활용하는 시스템 트레이딩 소프트웨어입니다.   트레이딩 방법:1시간 차트에서 거래합니다;현재 날짜의 0시 이후에 피벗 레벨, 저항 1, 저항 2, 저항 3, 지지 1, 지지 2, 지지 3를 계산합니다;피벗 위에서 촛대가 닫히면 매수하며, 스톱로스는 지지(n) 레벨에 설정하고, 테이크프라핏은 저항(n)에 설정합니다;스톱로스를 손익분기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레일링을 사용합니다;매도는 촛대가 피벗 아래에서 닫힐 때 이루어지며, 스톱로스는 저항(n), 테이크프라핏은 지지(n)로 설정합니다.   여기에서 몇 가지 진입 파라미터의 의미를 설명하겠습니다:변수 TgtProfit은 스톱과 수익의 레벨을 정의하며, 값은 1, 2 또는 3이어야 합니다;TgtProfit이 1이면, 스톱로스(매수/매도) = 저항 1/지지 1이고,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 = 지지 1/저항 1입니다;TgtProfit이 2이면, 스톱로스(매수/매도) = 저항 1/지지 1이고,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 = 지지 2/저항 2입니다;TgtProfit이 3이면, 스톱로스(매수/매도) = 저항 2/지지 2이고, 테이크프라핏(매수/매도) = 지지 3/저항 3입니다;변수 isTradeDay는 열린 포지션이 언제 종료될지를 정의합니다. isTradeDay가 true일 경우, 열린 포지션은 하루가 끝나는 시점에 강제로 종료되며, 그렇지 않으면 포지션은 시장에 남아 스톱이나 수익으로 종료됩니다;변수 isTrace를 True로 설정하면, 모든 가능한 디버깅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파일이 생성됩니다.   테스트 결과: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할 때 모든 통화 쌍이 수익성 있는 레벨에 도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어드바이저에서는 동일한 레벨에서의 해제를 통해 TS가 구현될 것입니다.

2006.01.19
이동평균을 활용한 시스템 트레이딩 전략
MetaTrader4
이동평균을 활용한 시스템 트레이딩 전략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오늘은 이동평균을 활용한 시스템 트레이딩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매매 신호를 형성하는 이 EA(Expert Advisor)는 단 하나의 이동평균을 사용해요. 최근에 형성된 바에서 이동평균과 가격이 만날 때 포지션을 열고 닫습니다. 이 EA는 이동평균과 시장 가격 차트를 분석합니다. CheckForOpen() 함수를 통해 확인하며, 이동평균이 바와 만나는 방식에 따라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을 엽니다. 예를 들어, 이동평균이 오픈 가격보다 높고 클로즈 가격보다 낮으면 매수 포지션을, 반대로 오픈 가격보다 낮고 클로즈 가격보다 높으면 매도 포지션을 엽니다. 또한, 이 EA의 자금 관리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입니다. 각 포지션의 거래량은 이전 거래 결과에 따라 조정됩니다. LotsOptimized() 함수가 이 알고리즘을 구현합니다. 기본 롯트 사이즈는 최대 허용 리스크를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ot=NormalizeDouble(AccountFreeMargin()*MaximumRisk/1000.0,1); MaximumRisk 매개변수는 각 거래의 기본 리스크 비율을 나타냅니다. 보통 0.01(1%)에서 1(100%) 사이의 값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자유 마진이 $20,500이고 자본 관리 규칙에 따라 2%의 리스크를 사용해야 한다면, 기본 롯트 사이즈는 20500 * 0.02 / 1000 = 0.41이 됩니다. 롯트 사이즈의 정확성을 관리하고 결과를 허용 가능한 값으로 정규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0.1의 스텝으로 분수 롯트가 허용됩니다. 따라서 0.41의 거래량은 수행되지 않으며, NormalizeDouble() 함수를 사용하여 소수점 아래 1자리까지 정규화합니다. 이 결과로 기본 롯트는 0.4가 됩니다. 자유 마진을 기반으로 한 기본 롯트 계산은 거래의 성공에 따라 거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DecreaseFactor는 손실 거래 후 롯트 사이즈가 줄어드는 비율입니다. 정상적인 값은 2, 3, 4, 5입니다. 이전 거래가 손실이었을 경우, 다음 거래의 거래량은 DecreaseFactor에 따라 줄어들어 손실 기간을 견딜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손실 거래가 발생할 경우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이 EA는 주로 일간 차트에서 작업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테스트 모드에서는 종가에서 수행됩니다. 새로운 바의 오프닝에서만 거래를 하기 때문에 모든 틱 모델링 모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제 이동평균 전략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트레이딩을 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2005.11.29
메타트레이더 4를 위한 MACD 샘플 분석
MetaTrader4
메타트레이더 4를 위한 MACD 샘플 분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오늘은 많은 트레이더들이 사랑하는 기술적 지표 중 하나인 MACD(이동평균 수렴 발산 지표)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이 지표는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시스템 트레이딩에서 특히 유용하답니다. MACD란? MACD는 두 개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나타내며, 주로 매수 및 매도 신호를 포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12일과 26일의 지수 이동평균(EMA)을 사용하여 계산하죠. 이 지표를 통해 우리는 시장의 전환점을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MACD 사용 방법 신호선 교차: MACD 선이 신호선 위로 교차할 때 매수 신호로, 아래로 교차할 때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 다이버전스: 가격이 새로운 고점을 형성하는데 MACD가 낮은 고점을 형성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 제로라인 교차: MACD가 제로라인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 MACD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이 지표만으로 모든 거래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니,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분의 트레이딩 전략에 MACD를 추가해 보세요. 지금까지 MACD에 대한 간단한 소개였고,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2005.09.16
처음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